▣의문의 묻지만 흉기난동▣
진선미 “국정원 대선 개입 자료 공개 후 내 e메일 해킹 당했다” & ‘국정원 대북심리전팀 전면 수사’ 목소리-‘댓글’ 입건 3명으로 늘어
sos8282
2013. 3. 28. 15:37
진선미 “국정원 대선 개입 자료 공개 후 내 e메일 해킹 당했다”
경향신문 | 입력 : 2013-03-27 23:06:18ㅣ수정 : 2013-03-27 23:34:01
ㆍ의원실 공식 계정 해외IP로 접속 시도… 수사 의뢰
ㆍ의혹 보도한 기자들 메일에도 실패한 로그인 흔적
민주통합당 진선미 의원이 27일 “의원실 e메일이 해킹당했다”고 밝혔다. 진 의원은 국가정보원의 불법 대선 개입 의혹을 집중적으로 제기한 인물이다. 국정원 직원들이 활동한 것으로 확인된 ‘오늘의 유머(오유)’ 사이트 운영자와 이 사건을 보도한 한겨레신문 기자 등의 e메일 계정에도 해킹 시도가 있었던 것으로 파악됐다.
국정원 불법 대선 개입 의혹에 관심이 많고 활발하게 활동한 국회의원과 언론인, 국민들의 개인정보를 누군가가 들춰본 것이다.
진 의원은 이날 국회 안전행정위원회의 이성한 경찰청장 후보자 인사청문회에서 “지난 20일 의원실 e메일이 해킹을 당해 서울 영등포경찰서 사이버수사대에 신고했다”며 “정보 취득 목적으로 e메일 내용만 훔쳐본 것 같다”고 말했다. 진 의원은 “용의자는 휴대전화로 계정에 접속했고 접속 인터넷 프로토콜(IP)은 싱가포르지만 국내에서 우회 접속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진 의원실의 공식 e메일 계정 해킹은 20일 오전 11시쯤 이뤄졌다. 진 의원실은 22일 오전 9시쯤 포털업체로부터 전자우편 계정에 비정상적인 접속이 있었다는 통보를 받고, 이 사건을 영등포경찰서에 수사 의뢰했다.
진 의원이 18일 원세훈 전 국정원장의 ‘원장님 지시·강조 말씀’을 공개한 지 이틀 만에 의원실 공식 e메일 계정이 해킹된 것이다. 진 의원은 원 전 원장의 국내 정치 개입 지시 의혹을 제기한 바 있다.
국정원 직원이 글을 올린 오유 운영자 e메일과 해당 내용을 보도한 기자의 e메일에도 같은 방식의 해킹 시도가 있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16일 오후 3시쯤 오유 운영자 이호철씨의 국내 포털사이트 e메일 계정으로 접속을 시도한 IP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일본 도쿄 소재의 IP로, 이 해킹 시도는 로그인에는 실패했다. 이 사건을 보도한 뉴스타파 최기훈 기자의 e메일 계정으로도 외부에서의 접속 시도가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최 기자의 국내 e메일 계정으로는 8일 오전 5시쯤 오유 운영자의 e메일 계정으로 침입한 IP와 같은 지역의 IP에서 접속을 시도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겨레신문 정환봉 기자의 해외 e메일 계정으로도 해외 추정의 불상 IP에서 18일 이후에 접속을 시도한 것으로 전해졌다. 해당 시도들은 모두 로그인에는 실패했다.
민주당은 ‘원세훈 게이트’에 대해 연일 강공을 펴고 있다. 민주당 국정원 헌정파괴 국기문란 진상조사특별위원회는 이날 규탄 기자회견을 갖고 박근혜 대통령과 국정원에 이 사건을 철저히 조사할 것을 촉구했다. 위원회는 “원 전 원장의 국외도피 시도 등 여러 정황으로 볼 때 증거인멸과 도주 위험이 큰 만큼 즉각적인 구속수사를 촉구한다”고 밝혔다.
민주당은 “원 전 원장은 이명박 전 대통령에게 정기적으로 보고를 했다”며 “정황상 이 전 대통령이 국정원의 정치공작 내용을 사전에 인지했을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다. 민주당은 내달 1일 국내 ‘정치 개입’ 지시 혐의 등으로 원 전 원장을 고소할 예정이다.
심혜리·이효상 기자 grace@kyunghyang.com
‘국정원 대북심리전팀 전면 수사’ 목소리
경향신문 | 입력 : 2013-03-27 23:06:33ㅣ수정 : 2013-03-27 23:20:58
국가정보원의 18대 대선 여론조작 개입 의혹 사건에 국정원 직원으로 추정되는 인물이 추가로 등장하면서 국정원 대북심리전팀에 대한 전면적인 수사를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국정원 직원으로 의심되는 사람의 활동이 경찰이 수사 중인 인터넷 커뮤니티 ‘오늘의 유머(오유)’ 뿐만 아니라 인터넷 포털사이트나 트위터에서도 확인되기 때문이다.
이 사건을 수사 중인 서울 수서경찰서는 국정원 직원 김모씨(29)와 그의 조력자 이모씨(42) 외에 국정원 직원으로 추정되는 제3의 인물 이모씨(39)를 추가로 불구속 입건했다. 이들 모두 ‘오유’에 글을 올려 여론조작을 했다는 혐의를 받고 있다.
그동안 국정원 직원 김씨는 “개인적인 차원에서 글을 올렸고, 이씨는 사회에서 알게 된 지인”이라고 주장해왔지만, 또 다른 국정원 직원의 등장으로 대선 당시 여론조작에 국정원이 조직적으로 개입했다는 의혹이 사실일 가능성이 높아졌다.
특히 김씨가 ‘오유’에서 작성한 글처럼 특정 정치세력을 옹호하고 국정을 홍보하는 글들이 대선을 3개월여 앞둔 지난해 8월 말부터 아고라와 트위터 등에서 다수 발견되고 있다. 국정원이 특정 사이트에서만이 아니라 인터넷 전반에서 포괄적으로 활동해왔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민주통합당 진선미 의원은 지난 18일 ‘원장님 지시·강조 말씀’이라는 국정원 내부 자료를 공개하며 원세훈 전 국정원장이 국정원 직원들에게 여론조작을 지시했다고 주장했다.
야당과 시민사회단체는 대선 개입 혐의로 국정원을 조사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민주당 허영일 부대변인은 27일 “국정원이 지난 대선에 광범위하게 개입한 증거들이 계속 밝혀지고 있다”며 “국기문란 행위로 엄중하게 조사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국진보연대 윤지혜 민주인권국장은 “경찰 수사가 미진할 경우 국정원에 대한 추가적인 고발을 고려하겠다”고 말했다. 경찰 관계자는 “현재 입건된 3명에 대한 조사도 끝나지 않은 상황으로 국정원에 대한 전면 수사를 언급하기는 이르다”며 “그러나 고발을 통해 사건이 배당된다면 수사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효상 기자 hslee@kyunghya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