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 '청렴도' 매년 최하위 원인 자체 분석 해보니.. "권위적 수사·교통단속 불신이 주요인"
경향신문 | 입력 : 2014-01-28 06:00:02
경찰의 '청렴도'가 이명박·박근혜 정부에서 정부기관 중 '꼴찌'를 잇따라 기록하며 계속 추락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향신문이 27일 경찰청에서 입수한 '2014 청렴도 결과분석' 책자를 보면, 국민권익위원회가 주최하는 정부기관별 청렴도 조사에서 경찰은 매년 최하위를 기록했다. 2002년부터 시작된 조사에서 경찰은 2003년을 제외하고 10년 동안 전체 기관 평균도 넘지 못했다.
연도별로 살펴보면 경찰의 청렴도는 2008년을 기점으로 급락세를 보이기 시작했다. 노무현 정권이던 2007년까지는 10점 만점에 평균 8점대를 유지했지만 이명박 정권(2008~2012년)에서는 평균 7점대로 내려왔고, 2012년 6.36점으로 역대 최저 평점으로 꼴찌를 기록했다. 정권이 바뀌어 박근혜 정부 첫해였던 지난해에도 6.86으로 2년 연속 꼴찌였다. 경찰이 최하위 등수를 기록한 경우는 2009년과 2012년, 지난해 등 세 차례다. 2009년에는 강남 유흥업소 및 오락실 업주로부터 돈을 받은 경찰관 20여명이 파면되는 등 부정부패 사건이 잇따랐다. 2012년에는 경기 수원에서 발생한 20대 여성 살인사건의 부실수사로 국민의 공분을 샀다. 지난해에는 총경급 이상 간부들의 각종 성추문 사건 등 신뢰도에 상처를 입는 사건이 이어졌다.
책자 내용 중 지난해 조사 결과 분석 부분은 경찰의 현주소를 그대로 보여준다. 지난해 조사 중 경찰서를 찾은 민원인 879명을 대상으로 한 '외부평가'에서 일반수사·교통단속 부문의 신뢰도가 6점대로 가장 낮게 매겨졌다.
경찰청은 "수사·교통단속 분야의 신뢰도가 아직까지 미흡해 개선이 필요하다"며 그 이유로 "불친절과 권위적 태도가 부정적 이미지로 연결돼 점수 저하를 초래했다"고 자체 분석했다.
퇴직경찰관과 전문가, 지역주민 등이 참여한 '정책고객 평가'에서는 부정부패·비리 빈발을 지적하는 목소리가 높아 내·외부 평가보다 낮은 6.59점을 받았다. 평가기간 중 부패 행위 45건이 적발됐고, 경찰에 호의적 평가를 유도한 경찰관 5명이 적발된 점 등이 감점으로 적용됐다고 경찰은 밝혔다.
< 박홍두 기자 phd@kyunghyang.com >
'▣검경(기사)정치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정상의 정상화'하랬더니 실적에만 눈먼 경찰 (0) | 2014.03.05 |
---|---|
'백지구형' 일삼는 검찰..과거사 진지한 반성 없어 - 검찰 내부서도 비판 (0) | 2014.02.22 |
[단독] 공판 검사가 피고인 ‘해결사 검사’와 악수 물의 (0) | 2014.02.15 |
미적대는 檢.. 대화록 218일째 채동욱 137일째 (0) | 2014.02.15 |
선행이 폭행 둔갑 안 되게 폭력사건 수사관행 바꾼다 (0) | 2014.02.06 |
대법, '피의자와 성추문 검사' 징역 2년 확정(2보) (0) | 2014.02.03 |
충북경찰청 '성추문' 간부 2명 운명 엇갈리나 (0) | 2014.01.05 |
경찰·검찰 청렴도 3년 연속 나란히 '꼴찌' (0) | 2013.12.20 |
8촌 이내 친척 사건 못 맡는다..경찰 행동강령 강화 (0) | 2013.12.09 |
유도신문한 경찰조사 탓에 男아동 성추행범 감형 (0) | 2013.1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