텔레파시통신 텔레파시통신 텔레파시통신 텔레파시통신 텔레파시통신 텔레파시통신
본문 바로가기

▣짝퉁검찰↔짝퉁경찰▣

경찰관도 '채동욱 관련 정보' 조회 - 경찰 2~3명 더 있다

[
'채모군 뒷조사' 동원 경찰 2~3명 더 있다
검찰, 여러 곳서 동시다발 무단 조회 확인… 해당자 소환 조사
“청와대 파견 간부 요청으로 조회” 진술… 국가기관 동원 정황
경향신문 | 입력 : 2014-03-22 06:00:02 / 이효상 기자 hslee@kyunghyang.com


지난해 6월 경찰 내부전산망을 통해 채동욱 전 검찰총장(55)의 혼외 아들로 지목된 채모군(12)의 개인정보에 대한 무단 조회가 여러 차례 시도된 것으로 드러났다. 이 중 한 경찰관은 청와대 민정수석실에 파견나가 있는 경찰 간부의 부탁으로 채군의 개인정보를 조회한 것으로 알려졌다. 조오영 전 총무비서관실 행정관에 이어 청와대가 채군의 개인정보 파악을 위해 국가기관을 동원한 정황이 또 나온 것이다.

서울중앙지검 형사3부(조기룡 부장검사)는 복수의 현직 경찰관이 채군의 개인정보를 조회한 정황을 잡고 수사 중이라고 21일 밝혔다. 검찰은 서울 서초경찰서 소속 박모 경장 등 3~4명의 경찰관을 소환해 어떤 경위로, 누구의 지시를 받고 채군의 개인정보를 조회했는지 캐물었다. 복수의 경찰관들은 채 전 총장의 혼외 아들 의혹이 보도되기 전인 지난해 6월 말쯤 각기 다른 장소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채군의 개인정보를 조회한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박 경장은 지난 19일 검찰 조사에서 자신에게 개인정보 조회를 지시한 인물로 청와대 민정수석실에서 파견근무 중인 김모 경정을 지목한 것으로 전해졌다. 김 경정은 지난해 6월 말 박 경장이 근무하고 있던 서초경찰서 산하 지구대에 찾아와 자신의 신분증을 제시하고 채군의 정보 조회를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김 경정이 누구의 부탁 또는 지시를 받고 채군의 개인정보 조회를 요청했는지 수사할 계획이다.

현행 개인정보보호법상 경찰관의 개인정보 열람도 범죄 수사 등에 필요한 경우로 엄격히 한정하고 있다. 검찰 관계자는 "아직 김 경정에 대한 직접 조사는 실시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앞서 검찰은 서울 서초구청과 강남교육지원청에서도 지난해 6월 채군의 개인정보를 수집한 정황을 확보했다. 같은 시점에 여러 명의 경찰이 채군의 개인정보를 조회한 정황까지 나오면서 채 전 총장 '신상털이'에 국가기관이 동원된 의혹이 확인되고 있다.

이들 국가기관의 채 전 총장 신상털이 과정에는 청와대 관계자들의 이름도 계속 오르내린다. 검찰이 지난해 11월 채군 개인정보 무단 조회 혐의로 압수수색을 한 서초구청 조이제 행정지원국장(54)은 자신의 윗선으로 조오영 전 행정관을 지목했다. 당시 함께 압수수색 대상이던 서초구청 임모 과장은 곽상도 전 청와대 민정수석, 이중희 민정비서관과 검찰에서 함께 근무한 이력이 있다.

<이효상 기자 hslee@kyunghyang.com>


##_1N|cfile2.uf@24594E34532D01481D1500.jpg|width="234" height="35" filename="k-2.jpg" filemime="image/jpeg"|_##]
경찰관도 '채동욱 관련 정보' 조회
검찰, 최근 소환조사… " 누군가의 부탁 받아"
한국일보 | 입력시간 : 2014.03.21 03:36:38 / 김청환기자 chk@hk.co.kr


채동욱 전 검찰총장의 혼외 아들로 지목된 채모(12)군의 개인정보 유출 사건을 수사중인 검찰이 현직 경찰관의 연루 정황을 파악하고 수사중이다.

20일 사정당국에 따르면 서울중앙지검 형사3부(부장 조기룡)는 현직 경찰관 김모씨가 지난해 6월말쯤 서울 서초경찰서 반포지구대에서 경찰 내부전산망에 접속해 채군의 주민등록 번호와 주소지 등을 검색한 정황을 확인하고 최근 김씨를 소환조사했다.

검찰은 김씨가 채군의 개인정보를 조회한 시점이 서울중앙지검 특별수사팀의 국가정보원 대선개입 사건 수사결과 발표 직후였던 점에 주목하고 있다. 검찰은 김씨가 국정원과 특별한 관계를 맺고 있는지 여부에 대해서도 수사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김씨는 검찰 소환조사에서 "누군가의 부탁으로 개인정보를 조회했다"고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검찰은 서울 서초구청 조이제(54) 행정지원국장이 지난해 6월11일 조오영(55) 전 청와대 행정관으로부터 부탁을 받고 채군의 가족관계등록부를 불법 열람한 혐의와 관련해 지난해 말 이들을 수차례 소환조사하고, 서초구청을 압수수색했다. 이어 검찰은 이들에 대해 구속영장을 청구했지만 법원에서 기각되자 보강수사를 벌여왔다.

검찰 관계자는 "채군의 개인정보 유출과 관련해 현재도 확인작업을 하고 있다"며 "구체적으로 누구를 언제 불러 조사했는지는 말할 수 없다"고 밝혔다.

김청환기자 chk@hk.co.kr

[관련기사]
채동욱 의혹, 다시 떠오른 '靑 기획설'.. 혼외자 첫 보도 3개월 전 이미 열람
국민일보 | 입력 2014.03.22 02:09